본업

어깨 질환 한방치료 순서 및 처방

소요하다곡작 2021. 5. 24. 16:15

이학적검진

mouth wrap, back rub, neer test

Hawkins test, cross body adduction test, external rotation test, pattes test, empty can test, drop arm test Drop arm test.

 

감별할 것

관절 내부 문제 : 외상 또는 퇴행성 질환, 과도한 사용 등Ex) 회전근개 질환, 충돌증후군, 관절 불안정증, 동결견(오십견), 견쇄관절 질환 등

관절 외부 문제 : Ex) 경추 질환, 심장 질환, 뇌경색 등

 

# 진단적 접근

* 병력청취 : 통증 위치(Ex:견갑대 또는 견봉 기준), 동작제한 유무, 과정의 속도, 통증 시간대 등

견봉 기준 상부 통증 - 목 기원견봉 기준 하부 통증 - 견관절 질환

* 신체검사 : 시진, 관절가동범위, 압통점, 유발검사, 신경학적검사, 영상 검사 등

 

**neer impingement sign (견봉전하방-상완골 대결절 충돌증후군)

Hawkins ipingement sign(대결절-오구견봉인대 충돌)

 

극상근 열상인가? ampty can, 외전 근력검사 체크

0~90도 삼각근 극상근.

90~150도 승모근 전거근. 주로 외전제한은 견갑하근 (동결견) 치료!!

 

동통호(90도 외전부터 통증 없어지는 현상)이 있는가? 있다면 회전근개 의심. 90도 이상부터 삼각근이 개입돼서 덜 아픈 것이기 때문.

똑같이 드롭-암 테스트도 시행

 

TOS(흉곽출구증후군) R/O하기 위해서 Adson's test. 그 전에 엄지손가락으로 양 견갑골 하각을 촉지하여 양 견갑골의 높이 비교

 

경추에서 시작되는 상완신경총의 문제인가? 승모근의 과긴장으로 인한 근막 연속성의 문제인가 (11번신경)

어깨 진단할 때 경추의 회전 변위도 살핀다.

 

견갑상완리듬? 상완골회전과 견갑골회전이 2:1로 움직이는 것

팔 올리지 않고 주관절을 굽혔다폈다/ 90도 거상시킨 채로 다시 시행시 통증 비교로

180도 거상 시 견갑골 하각이 흉곽옆에까지 가 있는지 확인.

견갑상완리듬이 무너졌는지 감별. 오구돌기에 자침 혹은 약침 치료

견갑거근이 단축되면 견갑골 하방회전으로 인해 상방회전이 잘 안 이루어져서 견갑상완리듬이 깨진다.

능형근도 단축되면 견갑골 움직임이 제대로 안 이루어진다. 이 두 근육을 치료해야함.

상방회전이 잘 이루어지도록 상부승모근 강화운동(슈러그)나 전거근 강화운동을 해야함.

 

<치료>

견봉하 점액낭이 주된 압통점이자 치료 포인트 (봉침, 약침)
***견봉하 점액낭 찾는 법: 열중쉬어 상태서 견봉 찾아서 그 앞 아래쪽

 

견갑대의 정상 높이를 찾아주고(상각T1~하각T7)

견봉과 상완골의 각도 회복을 위한 근막 치료

견갑대가 상승->견갑거근, 상부승모근, 삼두근 장두, 소흉근, 광배근

견갑대가 하강->극하근 소원근 광배근 전거근

 

그래도 안되면 골반 교정이 들어가야한다. 골반 교정해주면서 기립근, 다열근, 요방형근 치료

그래도 안되면 인대(오구견봉인대, 오구상완인대, 견갑상완인대), 관절강, 힘줄(상완이두 장두)

 

<통증에 따른 치료점>

상완 횡인대와 이두근 장두의 염증, 유착->어깨 전면 통증

 

극상근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견갑상신경 압박으로 극상근, 극하근의 허혈성 통증 유발

->통증보다는 팔이 잘 안 올라갈 수 있다.

 

소원근 긴장 경결로 인해 액와신경 압박->액와신경의 지배를 받는 삼각근, 소원근 경결 및 허혈성 통증

 

뒷목덜미의 통증은 견갑거근(肩胛擧筋:levator scapulae m.)에 있는 긴장성 통증이고, 어깨부위에 있는 통증은 승모근(僧帽筋:trapezius m.)에 있는 긴장성통증이었다.

 

더부신경(흉쇄유돌근, 승모근), 견간배신경(견갑거근, 중사각근, 능형근)

중사각근의 통증유발점은 제5번 경추 횡돌기(橫突起:transverse process)의 후극(後棘:posterior tubercle)부위에 있고, 흉쇄유돌근(SCM m.)의 통증유발점은 유양돌기(乳樣突起; mastoidprocess)에서 흉골(胸骨:sternum) 방향으로 약 3cm 아래쪽에 있다.

 

<한방 치료>

* 치료 목표 근육 및 인대에 따른 취혈 및 자세

(견우, 거골, 병풍 / 견료, 노수, 천종 / 상완골 소결절, 극천이두근구 / 견료, 견중 / 견정 / 천정, 결분)

 극상근 : 견우, 거골극하근 : 병풍

* 원위 취혈

: 사암침 (대장, 삼초, 소장)

: 경락의 선택 (順經, 경락신전부하검사) / 경근의 선택 (대장, 소장, 심포, 삼초, )

: 동씨침 (중자, 중선, 견중, 신관, 음릉천, 지오회, 측삼리, 측하삼리)

 중자, 중선: 폐경근. 광배근, 견갑골 통증.

 견중: 삼각근 아시혈.

 신관, 음릉천: 담음병.

 지오회: 담경쪽 어깨질환.

 측삼리, 측하삼리: 삼초경, 대장경 쪽 견관절 외전 잘 안 될 때.

 부항

* 삼금(동씨침) : 자락관법

 견갑골 질환에 어혈병 있을 때 특효혈처럼 방혈 많이 함.

 약물

* 오약순기산, 개결서경탕, 반하금출탕, 오적산

 운동

* 기본 : 초기에는 굴곡과 외회전 운동을 우선적으로

* 순서 : 스트레칭  견갑안정화운동  회전근개강화운동

: 등척성 운동  저항성 운동  플라이오메트릭 운동

* 회전근개 질환 : 초기에는 수동 굴곡 운동. 이후 회전 운동 추가. 마지막으로 외전 운동

: 수동운동에서 능동운동 순서로 진행

 

동결견에 코드만 운동

'본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통의 진단학 가볍게  (0) 2021.10.21
약리학 개론  (0) 2021.08.18
어깨 질환 정리  (0) 2021.05.24
어깨 해부  (0) 2021.05.24
어깨 개론 및 움직임, 견갑상완리듬  (0) 202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