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업 10

신경정신 한방처방

주소증 기왕력 현병력 약물복용력 혈압, 맥박. 키/체중 식욕 소화 대변 소변 한열 구갈 한출 수면 두면 이비인후 흉부 호흡 스트레스 수족 관절 신체 피부 여성질환 복진 맥진 설진 수면정상, 식욕정상.. 이런 식보다는 어떤 음식에 반응하는지, 몇시에 자고 몇시에 중간에 깨고 깨면 뭐 어떤 상태인지.. 등등 디테일이 중요함 귀비탕. 사군자 기반으로 당귀, 용안육. 마르고 약한 체질이면 원지의 용량을 줄이고 복신 ,석창포를 대신해도 좋고 사군자계열이 소화가 안 되면 향사육군자를 참고. 간기울결증(심번이노) 시호소간산 (석결명8 만형자, 백작약, 향부자6, 시호지실4 감초2) 도담탕, 시용모, 사역산 합 영출탕 소간리기제들(현호색-천련자), 향소산 량심탕(백복령, 복신 당귀 생지황 1돈 황기 원지 8푼 천궁 백..

본업 2021.12.24

목이 아파요~ 침 삼킬 때와 말 할 때 불편해요~

인두는 구강, 비강에서 더 들어가서 나오는 벽이라고 보면 되는데 비인두 구인두 후두인두 3가지로 구분 짓는다 파링고~ 인두. 라링고~후두. 인후두염은 laryngopharyngitis 인두염(Pharyngitis) 1-2주 내에 해결. 95%는 바이러스 감염이다. 다만 GAS (A군 연쇄상구균 인두염)인지를 봐야 한다. 38.3도가 넘는 열, 복통, 두통, 오심, 구토. 편도주위 농양, 후인두 농양이 있는지 관찰. 기침, 콧물 및 설사는 일반적으로 없다. 변형된 centor 점수 기록!! 체온이 38도 이상인가? 기침이 없는가? 전방 경부 림프절 동통이 있는가? 편도 비대 또는 삼출물이 있는가? 연령이 3-14세인가? 4점 이상이면 50%이상 GAS 가능성 있음 A군 연쇄상구균 감염의 경우 3주의 무증상..

본업 2021.12.07

항생제 처방의 종류와 적용 범위

-일반적으로 그람양성에는 페니실린 (~실린 계열들) -그람음성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마이신 계열들) -MRSA처럼 항생제 내성 그람양성균이면 글리코펩타이드계열 (반코마이신~) -광범위하게는 퀴놀론(~플록사신. 주로 호기성 그람음성균 녹농균),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을 쓰지만 테트라는 소아, 임산부에게 조심~ -질환마다 보통 많이 쓰이는 항생제가 있으니 각각 알아두면 좋다~ (예를 들면 혐기성 복부골반계 감염에는 세팔로스포린계. 특히 3세대 cephamycin) 1. 항생제 개론 및 적용범위 (1)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2)그람 양성균->페니실린, 아목시실린, 세팔로스포린 (3)범용성(단백, dna, rna합..

본업 2021.12.07

중앙공급실 시스템에 대하여

중앙공급실 기구세척, 환경청소, 바닥청소로 나뉘는데 기구세척은 일반환자, 감염환자 나눠서 오피자임1대100, 그러니까 물1L 오피자임10cc 용액에 2분 이상 침적 감염환자는 1% Tego 1대50. 그러면 물 1L에 10% TeGo 20cc 20분이상 침적 환경청소는 차아염소산수 바닥청소는 메디록스 고압분사기도 갖춤 고온&고압 기구세척기 이용. STERIS사 세척 후 수술용 1회용천으로 포장해서 로 스팀멸균기로 1시간 이상 소독. 유효기간 14일 로 EO 가스 소독기. 13시간 이상 소요. 유효기간 180일 -멸균은 그러면 16시까지 접수를 받아 익일 8시반에 꺼내면 됨 -공기흐름은 수술실에서 복도쪽으로 밖으로 나가게 시스템 -스크럽: 일회용솔 팔꿈치위까지 씻고. 손가락 끝 위주로 -추가로 세탁업무 침..

본업 2021.11.22

복통의 진단학 가볍게

복통 크게 내장성 통증과 체성통으로 나뉜다. 비세랄과 소마틱 1)내장성 통증은 유해자극 (장관의 확장, 신전, 염증, 허혈 등)이 복부나 흉곽의 내장에 작용할 때 발생한다. 내장의 특성을 띄는데 예를 들어 내장 신경 지배가 다분절이라 “불명확한 위치” 복부장기는 척수의 양쪽에서 지각성 구심신경을 받아 “중앙선 부위 통증”이 있다. 이 밖에 둔한 통증 양상과 이차적인 자율신경 증상(발한, 오심, 불안, 창백)이 흔히 동반되기도 한다 2)체성통은 복막의 유해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다고 하여 벽측 통증(파라에탈 페인)으로 불리는데 내장통과 반대로 국한성, 심한통증, 지속성이 특징이다. 3)연관통(레펄드 페인) 또한 복통의 원인 감별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담낭염-우견갑골부/ 급성 췌장염->등 중앙/ 요로결석..

본업 2021.10.21

약리학 개론

전임상연구- 대상이 동물, 초기합성 실험 임상시험- 대상이 사람 1상 건강한 사람 2상 100~500명 환자 3상 대규모 환자 NDA(new drug application) FDA 17~24개월 소요 PMS(postmarketing surveilance) 시판 후 감시 남용(abuse): 의학적 목적과는 상관없이 약물을 지속적으로 빈번히 사용하는 것 의존(dependence): 중독과 관련된 약물이 필요한 신체적, 정신적 상태 임산부에 대한 안정성 A:태아에게 아무런 해가 없음. 철분제 B:동물실험에서 해가 없음이 입증됨. 소화제, 해열진통제, 위산제제 C:동물실험에서 악영향이 보고됐지만 인체실험에서 명백한 유해성이 입증 안 됨. 대부분의 약물 D:태아에게 일부 위험하지만 임산부의 생명이나 임신유지를 감..

본업 2021.08.18

어깨 질환 한방치료 순서 및 처방

이학적검진 mouth wrap, back rub, neer test Hawkins test, cross body adduction test, external rotation test, pattes test, empty can test, drop arm test Drop arm test. 감별할 것 ① 관절 내부 문제 : 외상 또는 퇴행성 질환, 과도한 사용 등Ex) 회전근개 질환, 충돌증후군, 관절 불안정증, 동결견(오십견), 견쇄관절 질환 등 ② 관절 외부 문제 : Ex) 경추 질환, 심장 질환, 뇌경색 등 # 진단적 접근 * 병력청취 : 통증 위치(Ex:견갑대 또는 견봉 기준), 동작제한 유무, 과정의 속도, 통증 시간대 등 ○ 견봉 기준 상부 통증 - 목 기원견봉 기준 하부 통증 - 견관절 질환 *..

본업 2021.05.24

어깨 질환 정리

어깨 질환 충돌증후군, 극상근건염, 이두근건염, 견봉하 점액낭염, 흉곽출구증후군, 유착성 관절낭염, 경추 신경 포착, 회전근개 파열, 관절순 파열, 견봉 분리, 화농성 관절낭염 양방치료: acromioplasty, bursaectomy, SS(견갑상)NB, A(axillary)NB, sub.A.bursa inj 등 1.가동검사 2.건, 관절 or 경추 C5 (견쇄관절의 경우 C4) 건의 병변은 수동운동에 제한이 없다. C5레벨은 견부외측, 상완부 1.충돌증후군-90도 이상 거상 시 대결절과 견봉 사이에서 회전근개가 압박을 받는 질환 돌발적인 굴곡시, 굴곡 후 내회전시 주로 유발. neer test: 엄지를 위로 가게하고 견갑골 뒤쪽 잡고 팔을 거상하여 귀에 붙이기 hawkins test: 어깨 90도 굴..

본업 2021.05.24

어깨 해부

① 극상근 : 기능 → 외전 (30°+) 주동, 상완골두 하방전위 방지, 굴곡 협조 : 증상 → 삼각근 중부 부위에 통증 집중 / 상완과 전완 및 상완골 외과의 연관통 / 야간통 → 외전시 통증, 내회전 제한 ○ 주관절 외측부 통증 ② 극하근 : 기능 → 외회전 주동, 상완골두 하방전위 방지 및 관절와내 안정화 : 증상 → 견관절 전면부 심층의 통증 / 臂의 폐, 대장경선상 연관통 / 환측와위 불가 → 외회전 제한 ③ 소원근 : 기능 → 외회전 주동, 상완골두 관절와내 안정화 : 증상 → 후삼각근내 상부의 동전크기만한 통증(견정혈) / 통증부위 고정성 → 동작제한 보다는 통증 위주 증상 ○ 후삼각근 심부층 견정혈 통증. ④ 견갑하근 : 기능 → 내전 및 내회전 주동, 상완골두 괄절와내 안정화 : 증상 →..

본업 2021.05.24

어깨 개론 및 움직임, 견갑상완리듬

1.어깨 개론 1)Ball-socket 관절이라 안전성이 떨어짐. 회전근개가 견관절의 안전성을 담당한다. -5개의 관절 복합체로 구성 -1. 견갑상완관절 2. 견봉쇄골관절 3. 흉쇄관절 4.견봉하 관절 또는 공간 5.견갑흉곽관절 -어깨를 구성하는 골 구조물= 쇄골+견갑골 +상완골 +(흉곽) 2)회전근개 상완골두와 관절낭에 부착. 극상근/극하근/소원근/견갑하근으로 이루어짐 상완골 대결절에 붙는 근육: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상완골 소결절에 붙는 근육: 견갑하근 회전근개의 병변과 각 근육별 움직임은 뒤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 3) 관절순, 관절낭// 어깨 인대, 회전근개, 건, 점액낭 // 외재근(삼각근, 대흉근, 대원근, 광배근) 이렇게 층이 이루어진다 4)어깨의 움직임 -외전 : 팔을 몸옆에 붙인..

본업 2021.05.24